[홍익인간 7만년 역사 -68] 단군조선(檀君朝鮮) 연대기 21
홍범구주의 여덟번째 범주는 염용서징(念用庶徵)이며, 마지막 아홉번째 범주는 향용오복 위용육극(嚮用五福 威用六極)이다. 아. 염용서징(念用庶徵) 염용서징이란, 여러 징후인 서징(庶徵)을 함부로 생각하여 판단하지 말고, 신중히 생각하여 행하라는 의미이다. 여덟째로 서징(庶徵)은, 우(雨),양(陽), 욱(燠),한(寒),풍(風)이다(八 庶徵 曰雨,曰陽,曰燠,曰寒,曰風). 때에 맞다라 함은, 다섯가지가 각 그 순서대로 와서 마련되면 모든 풀이 번성하고 무성하게 되며, 하나라도 지나치면 흉하고 하나라도 없어도 흉하다는 것이다(曰時, 五者來備,各以其序,庶草繁廡. 一極備,兇。一極亡,兇). 쉬엄쉬엄 때를 맞추는 휴징(休徵)이란, 숙(肅)은 때맞춰 비가 내리는 것과 같고, 치(治)는 때맞춰 햇빛이 나는 것과 같으며, 지(..
더보기
[홍익인간 7만년 역사 -66] 단군조선 연대기 19
홍범구주의 다섯번째 범주는 건용황극(建用皇極)이다. 건용황극은 임금의 유극(有極)인 황극을 세워 시행하라는 의미이다. 마. 건용황극(建用皇極) 다섯째로 황극이라. 임금(황)이 그 유극(=황극)을 세워, 오복을 때 맞추어 거두어 써서 그 백성들에게 펴서 베풀면, 때 맞추어 그 백성들도 너의 극(황극=유극)을 보존토록 할 것이다(五, 皇極, 皇建其有極, 斂時五福, 用敷錫厥庶民, 惟時厥庶民, 于汝極, 錫汝保極). 황극은 임금의 지극한 자리를 가리킨다. 즉 하늘님의 권세를 대행하는 왕의 자리이며, 왕노릇하는 자리이다. 유극(有極)은 일(극) 즉 무극(無極)에서 삼극(三極)이 나오듯 극을 이룬다는 의미로, 동서남북중의 오부(五部) 중의 중(中)을 황극(皇極)으로 본다. 즉 배달신시, 단군조선 시대의 오방의 오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