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醫學/건선

건선은 혈액 내 백혈구가 이상이 생겨 생기는 것..??


건선은 혈액 내 백혈구가 이상이 생겨 생기는 것..??

건선의 원인으로 얘기 되는 것 중에는 백혈구에 이상이 생겼기 때문이라는 속설도 있습니다. 이 문제 역시 건선이 기(氣)의 병이 아니라 혈(血)의 병이라는 점을 떠올리면, 그 답이 나올 것으로 생각됩니다.

더불어, 건선은 목감기 환자하고도 긴밀한 연관있다는 것입니다. 건선이 호전된 환자가 목감기에 걸렸다가 건선이 심해지는 경우를 종종 목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서양의학에서는 목감기를 유발하는 ‘연쇄상구균’을 건선의 원인으로 꼽기도 하는데, 그것은 시작과 끝이 뒤집어진 해석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백혈구 이야기에 목감기를 이야기 하는 이유는 바로 이 목감기가 혈의 병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감기가 기(氣)의 문제로 생기지만, 목감기만은 혈(血)의 이상으로 생기는 질환입니다. 정리하면, 목감기, 백혈구 이상, 건선 모두 혈(血)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병이라는 것입니다.

감기도 건선의 원인..??

건선의 예방법으로 감기와 편도선염을 주의해야 한다는 글도 종종 눈에 보입니다. 사실 감기는 만병의 근원이라고까지 이야기를 하는데, 쉽게 찾아오고 쉽게 낫지만 감기로 인해 다른 병이 생길 수 있는 가능성도 많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런데, 감기가 건선의 원인으로 오해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먼저, 건선은 약의 오남용과 약의 부작용으로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감기가 건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는 것은 잘못된 지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감기에 걸리는 것은 몸에 피로가 쌓이는 것도 하나의 원인이기 때문에 몸의 피로는 간(肝)의 혈(血)을 부족하게 함으로서 건선을 악화시킬 수는 있다는 추측도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피로를 그때그때마다 풀어주는 것도 그런 뜻에서는 건선의 예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