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군왕검(檀君王儉)의 역사 - 도산회의(塗山會議)

[홍익인간 7만년 역사 -72] 단군조선(檀君朝鮮) 연대기 25 서기전2267년 이후 늦어도 서기전2247년 사이에 사공(司空) 우(禹)는, 직속신하인 백익(伯益)과 함께 동서남북의 명산대택(名山大澤)을 답사하면서, 지방유력자(地方有力者)를 찾아다니며, 산천의 맥리(脈理)와 지하자산(地下資産)과 새와 짐승과 곤충류와 민속(民俗)과 특이한 나라, 지역, 토지의 거리를 조사하여 인문지리책을 지었으니, 이를 산해경(山海經)이라 한다. [사공(司空) 우(禹)가 백익(伯益)과 함께 우공(虞貢)의 사례(事例)로 산해경(山海經)을 짓다] 우(禹)가 편찬한 원래의 산해경은 서기전2267년경부터 서기전2247년경 사이에 지어진 것이 되고, 이는 서기전2267년 도산회의 때 태자부루로부터 치수법(治水法)을 전수받으면서 치수와 관련하여 명을 받은 우공(虞貢)의 사례(事例)에 속하는 것이.. 더보기
[홍익인간 7만년 역사 -71] 단군조선(檀君朝鮮) 연대기 24 서기전2267년 도산회의에서 단군조선의 진한 태자부루로부터 천국(天國)이 부여한 천상왕권(天上王權)을 증명하는 증거물인 천부왕인(天符王印)과 깊이와 넓이를 재는 자(尺)인 신침(神針)과 오행치수법(五行治水法)이 담긴 금간옥첩(金簡玉牒)이라 불리는 황구종(皇矩倧)을 전수받은 사공(司空) 우(禹)는, 치산치수(治山治水)에 관한 전권(全權)을 부여(賦與)받아 구주사악(九州四嶽)에 걸쳐 있던 홍수를 본격적으로 다스리기 시작하였다. [사공(司空) 우(禹)가 치수(治水)에 성공하다] 서기전2288년에 발행하여 서기전2267년까지 22년간 중원(中原) 땅 동서남북의 사악(四嶽) 사이에 걸쳐 마무리 되지 않던 대홍수를 사공(司空) 우(禹)가 천상왕권(天上王權)을 상징하는 천부왕인으로써 필요한 인력(人力)과 장비(裝備).. 더보기
[홍익인간 7만년 역사 -69] 단군조선 연대기 22 서기전2267년 단군조선의 사자인 진한 태자부루께서 주관한 도산회의에서, 태자부루는 우(虞)의 사공(司空) 우(禹)에게 순(舜)이 단군조선 중앙조정의 허락이나 윤허없이 함부로 설치한 병주(幷州), 유주(幽州), 영주(營州)에 대하여 죄를 묻지 않을 것이라 하면서, 요(堯)가 기주(冀州)를 나누어 설치한 병주와 유주 중 병주는 그대로 두고, 유주와 청주에서 나누어 설치한 영주는 회수조치하여 단군조선 직할영역으로 편입시켰다. [우순(虞舜)이 설치한 유주(幽州), 영주(營州)를 회수하고, 우공(虞貢)을 시행하다] 처음 서기전2357년경 요임금이 설치한 9주는, 당(唐)의 수도인 평양(平陽)의 북쪽 지역인 태원(太原)을 포함한 기주(冀州), 평양의 동쪽지역으로 황하와 제수(齊水) 사이의 연주(兗州), 연주 남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