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대의 문화제도 썸네일형 리스트형 [홍익인간 7만년 역사-19] 한국시대의 문화제도 6 한국(桓國) 시대에 정립된 천부삼인의 증거물로 거울, 방울, 칼이 있었다. (3) 천부삼물(天符三物) 한국(桓國) 시대에 정립된 홍익인간(弘益人間) 세상을 위한 다스림의 세가지 보물은, 거울, 방울, 칼이다. 출토되는 유물로는 청동경(靑銅鏡), 청동령(靑銅鈴), 청동검(靑銅劍)이다. 특히 방울은 배달나라 시대 이후에는 태극 반쪽 모양의 곡옥(曲玉)이나 양면(兩面)을 가진 북(鼓)으로도 나타난다. 서기전10000년경 오미(五味)의 변란(變亂)으로 마고성(麻姑城)이 소위 실낙원(失樂園)이 된 이후 원시복본(原始復本)을 맹서하면서 사방분거(四方分居) 하기로 결의한 때, 황궁씨는 천부(天符)를 신표(神標)로 나누어 주었는데, 이때의 천부는 천부삼인이 아닌 천지인(天地人) 삼인(三印) 중에서 천지(天地)에 해당하.. 더보기 [홍익인간 7만년 역사-17] 한국시대의 문화제도 4 천부삼인(天符三印)은 한국시대 전기에 이미 정립되었다. 즉, 서기전7197년 갑자년 이후 황궁씨(黃穹氏)의 한국시대 초기에 지소씨(支巢氏)의 선착민(先着民)과 황궁씨 일파의 이주민(移住民) 사이에 텃세로 인한 전란(戰亂)이 있었는데, 이로 말미암아 황궁씨가 홍익인간(弘益人間)이라는 공동선(共同善)을 위배하는 무리를 처단하기 위하여 천부삼인을 정립시켰던 것이다. 7. 천부삼인(天符三印)의 정립과 가르침 서기전7197년 이전에 마고성(麻姑城)에서 사방으로 분거할 당시에 황궁씨는 모두가 원래 하나임을 증거하는 천부(天符)를 신표(信標)로 나누어 준 바 있었다. 그후 약 1,000년 사이에 각 사방 각 지역에 정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선착민과 이주민 사이의 전쟁을 다스리기 위하여 천권(天權)을 행사한 것이 된.. 더보기 [홍익인간 7만년 역사-16] 한국시대의 문화제도 3 한국(桓國) 시대에 이미 다섯가지 가르침인 오훈(五訓)과 후대 국자랑(國子郞)이라 불리기도 하는 천왕랑(天王郞) 제도가 있었다. 5. 오훈(五訓) 오훈은 마고성(麻姑城) 시대 자재율(自在律)의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 된다. 마고성 시대의 자재율은, 타인의 간섭이나 통제를 받지 아니하고, 자연스럽게 스스로 존재하면서 지키는 율법인 바, 천음(天音) 즉 천지자연의 소리에 따라 자연의 이치대로 살아가는 법(法)이 된다. 천지자연의 소리가 곧 천지자연의 법이기 때문이다. 마고성 시대 사람들이 천음(天音)을 듣기 위하여 오금(烏金)이라는 귀걸이를 하고 다녔다 하는 바, 하늘의 법을 잘 따르기 위한 것이었던 것이다. 한국시대의 오훈은 성신불위(誠信不僞), 경근불태(敬勤不怠), 효순불위(孝順不違), 염의불음(廉義..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