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醫學/낮은 한의학

지석영의 종두법? 조선 시대부터 예방 접종 있었다!


조선 최초의 예방 접종, 종두법

조선 시대 민중을 가장 괴롭힌 질병은 천연두다. 천연두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고열·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2주 정도를 버티면 흉터만 남기고 사라지지만, 많은 이들은 그 전에 죽었다. <제중원 일차년도 보고서>를 보면, 4세 이전의 영아 40~50%가 천연두로 사망했다.

이렇게 무서운 질병이다 보니, 천연두는 예로부터 두창, 마마, 손님, 포창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그 중 백세창이라는 이름이 눈에 띈다. 일생에 한 번은 겪고 지나가는 병이라는 뜻의 이 이름은 의미심장하다. 우리 조상 역시 한 번 걸리면 재발은 없다는 '면역'의 기능을 어렴풋이 이해했던 것이다.

흔히 지석영이 19세기 후반에 우리나라에 최초로 천연두 백신이라고 할 수 있는 종두법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사실이 아니다. 의학사에 조금만 상식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잘못임을 아는 이런 오류가 여전히 상식처럼 알려져 있으니 그 이유가 궁금할 따름이다.

천연두의 예방 접종을 통칭하는 종두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가 영국의 제너가 도입한 우두법이다. 소의 천연두라고 할 수 있는 우두 고름을 사람에게 접종해, 사람의 천연두 면역을 얻도록 하는 게 우두법이다. 다른 하나는 천연두를 앓은 이로부터 시료를 얻어서 사람에게 접종해 면역을 얻도록 하는 인두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바로 이 인두법이 이미 널리 실시되었다. 인두법의 핵심은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이었다. 자칫하면 천연두가 감염되는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한의사 등은 이 시료 채취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이 때문에 여러 가지 시료 채취 방법이 동원되었다.

기록을 보면, 환자로부터 직접 채취해 쓰는 법, 환자의 옷을 입히는 방법, 고름·딱지를 가루로 만들어 코로 흡입하는 법 등이 있었다. 이 중에서 한의사가 가장 선호하는 방법은 가루를 코로 흡입하는 방법이었다. 물론 이런 방법은 갖가지 부작용이 있기는 했으나, 노하우가 축적되면서 인두법은 천연두의 예방 접종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역사 속에서 허준이 등장하게 된 배경도 바로 천연두 때문이다. 허준이 양예수를 제치고 선조의 총애를 받게 된 것은 바로 광해군의 천연두 때문이었다. 허준은 광해군의 천연두를 치료함으로써 선조로부터 총애를 받게 되었고, 결국 <동의보감>을 쓴 명의로 기록되는 영광을 누리게 되었다. 실제로 허준은 천연두를 다른 전염병과 명확히 구별했다.

▲ 국내에 천연두 예방 접종, 종두법을 처음 시행한 것은 지석영이 아니다.
그 전에 종두법의 하나인 인두법이 널리 보급되었고, 정약용은 우두법도 소개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지석영이 도입했다는 우두법의 존재도 이미 널리 알려져 있었다. 바로 정약용이 그 주인공이다. 어렸을 때 천연두 때문에 죽을 고비를 넘기고, 여러 명의 아이를 이 병 때문에 잃은 정약용은 종두법 전반에 관심을 가졌다. 특히 그는 인두법뿐만 아니라 최초로 우두법을 소개했다. (그가 우두법을 직접 시행했다는 설도 있다.)

서양 의학은 천연두를 몰아냈다. 그러나 그 뒤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이 전염병과 싸워온 노력이 깔려 있다. '종두법의 첫 도입자', 이런 찬사를 지석영이 독점하는 것은 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