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醫學/낮은 한의학

쥐 뼈는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


<동의보감>과 치아

<동의보감> 등은 쥐의 뼈가 치아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믿었다.


농암 김창흡은 그의 저서에서 치아가 빠진 자신의 모습을 이렇게 한탄했다.

"숙종 44년 내가 예순여섯 살이 되던 해이다. 갑자기 앞니 하나가 빠져 버렸다. 그러자 입술도 일그러지고, 말도 새고, 얼굴까지 한쪽으로 삐뚤어진 것 같았다. 거울에 얼굴을 비춰 보니 놀랍게도 딴 사람을 보는 것 같아서 눈물이 나려 하였다."

지금이야 임플란트로 빠진 치아를 채워 넣는 등의 방법이 있지만 옛날에는 어떤 방식으로 치아를 치료했을까? 쥐를 이용한 처방들이 우선 눈에 띈다. 좀 흉측하지만 치아가 흔들리는 증상에 사용되는 '고치산(固齒散)' 처방이 있다. 이 처방은 쥐의 등뼈에 여러 가지 약물을 혼합해 만들었다.

'낙치중생방(落齒重生方)'이라는 엽기적인 처방도 있다.

"치아를 자라나게 하고, 치아를 다시 나오게 하는 데 숫쥐 뼈를 가루로 만든다. (뼈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해서 얻을 수 있다.) 쥐를 잡아서 껍질을 벗긴 다음 노사라는 약물로 문지르면 3일이 지나서 살은 다 헤지고, 뼈만 남는다."

옛 사람들은 쥐의 뼈가 성장판이 닫히지 않아 계속 자라는 걸 보고서 치아 치료에 쥐 뼈를 활용할 생각을 한 듯하다. 실제로 <동의보감> 곳곳에서는 이렇게 쥐 뼈를 치아 치료에 이용하는 갖가지 처방을 발견할 수 있다. 오늘날 치과의사들이 보면 실소를 하면서 옛사람의 무지를 비웃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고개를 갸우뚱하게 하는 이런 처방만 있는 게 아니다. <동의보감>을 보면 풍치 처방이 있다. 잇몸이 패여서 치아가 흔들리는 현상을 되돌리려면, 염소의 다리뼈와 몇 가지 약재를 조합해서 쓰라는 것. 언뜻 들으면 또 다른 엽기적인 처방으로 들리지만, 꼼꼼히 따져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다.

염소의 다리뼈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은 인산칼슘이다. 이 염소의 다리뼈에는 불소도 들어 있다. 치아의 구성 성분이 칼슘, 인, 불소 등인 것이나, 또 인산칼슘이 몸에 흡수돼 치아를 건강하게 해준다는 사실 등을 염두에 두면 이 <동의보감>의 처방은 오늘날의 시각에서 봐도 상당히 그럴 듯하다.

이뿐만이 아니다. 버드나무 껍질로 치통을 치료하는 처방도 나온다. 버드나무 껍질, 잎을 끓인 물을 입에 머금었다 뱉으면 어금니의 아픈 통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 아스피린의 원료는 살리실산인데, 이는 버드나무 껍질에서 추출해 얻을 수 있다. 진통제의 원조가 아스피린인 것을 보면, 이 역시 현대 과학의 상식과 맞닿아 있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나 역시 잇몸 질환 치료를 위해서 몇 가지 처방을 만들어 본 적이 있다. 처방을 고민하면서 늘 머리에 떠나지 않았던 것이 바로 <동의보감>의 쥐 뼈를 이용한 엽기적 처방이다. 또 아는가? 앞으로 쥐 뼈가 치아 질환에 실제로 효과가 있다고 확인이 될 수도 있지 않은가.

<동의보감>은 8월 31일 제9차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유네스코 자문위원들은 "<동의보감>은 독창적이면서 아직도 여러 방면에서 서양 의학보다 우수하다고 인정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우리 내부는 이런 사실을 놓고 혹시 현대 의학이 폄훼당하지 않을까, 한의학을 깔보지는 않을까, 이런 데만 몰두하는 듯하다.

<동의보감>은 서양 의학, 한의학을 가릴 필요도 없는 우리 공동의 유산이다. 서양 의학은 서양 의학대로, 한의학은 한의학대로 이 <동의보감>에 실린 갖가지 유산을 잘 활용할 방법을 찾는 게 지금 필요한 일 아닐까? 가장 '실용'을 지향해야 할 의학마저도 왜 이리 이념 과잉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