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사 삼한 오가 화백 썸네일형 리스트형 천부삼인과 홍익인간 정치의 역사 -2 3. 삼사(三師)와 삼한(三韓) 제도 한배달조선 시대에 임금 아래 입법, 행정, 사법의 삼권을 담당한 삼사(三師)는 지금의 민주정치 제도하에서 마찬가지로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의 삼권분립 제도와 일맥상통한다. 서기전7197년에 시작된 한국(桓國)에 이미 삼사(三師)제도가 존재하였다. 이는 서기전3897년경 한웅(桓雄)이 한국(桓國)에서 지위리 한인 천제로부터 천부삼인을 전수받아 삼사오가(三師五加)와 무리 3,000을 이끌고 태백산으로 하강하여 개천하였다고 전해지는 역사적 사실에서 알 수 있다. 삼사제도는 권력분립의 기초이며, 삼사 아래 오가가 정립(定立)되어 각각의 업무에 충실하며 상호간의 권한을 간섭하지 않았던 것이 된다. 배달나라 시대에 이미 행해졌던 삼륜구서(三倫九誓) 또는 삼륜구덕(三倫九德)이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