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군왕검(檀君王儉)의 역사 - 홍범구주(洪範九疇)

[홍익인간 7만년 역사 -65] 단군조선 연대기 18 서기전2267년 도산회의에서 단군조선의 사자 태자부루께서 순의 신하 사공 우에게 오행치수법을 전수할 때 건네 준 황구종(皇矩宗)에 해당하는 홍범구주(洪範九疇) 중에서 네번째로 나오는 범주는 협용오기(協用五紀)이다. 이 협용오기라 함은 다섯가지 역(曆)의 기본인 오기(五紀)를 협의하여 행하라는 의미이다. 라. 협용오기(協用五紀) 네번째로 오기란, 첫째, 해(歲)요, 둘째, 달(月)이요, 셋째, 날(日)이요, 넷째, 별이요, 다섯째, 역수(달력)이니라(四五紀一曰歲二曰月三曰日四曰星晨五曰曆數). 해와 달과 별을 관측하여 만든 달력은 지역에 따라 다르므로 협의하여 그 지역에 적합하도록 조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홍범구주에는 역법에 관하여 너무 간단한 기록밖에 없어서 정확한 내용을 알 수 없다. 한해 즉 1년은 달.. 더보기
[홍익인간 7만년 역사 -64] 단군조선 연대기 17 농용팔정이란 팔정이라는 나라의 8가지 정치제도를 농사짓듯이 온 정성을 다하여 행하라는 의미이다. 다. 농용팔정(農用八政) 세번째로 팔정(八政)이란, 첫째, 먹는 것이요, 둘째, 재물(財物)이요, 셋째, 제사(祭祀)요, 넷째, 건설하고 세우는 사공(司空)이요, 다섯째, 교육인 사도(司徒)요, 여섯째, 도둑을 잡는 사구(司寇)요, 일곱째 손님을 접대하는 일이요, 여덟째, 군사이다(三八政一曰食二曰貨三曰祀四曰司空五曰司徒六曰司寇七曰賓八曰師). 팔정은 나라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제도이다. 이 여덟가지를 잘 다스려야만 나라가 평안해지고 백성들이 행복해 진다. 1. 첫째로 백성들이 먹을 것이 풍부해야 죄를 짓지 않게 된다. 백성들이 굶지 않게 먹는 것을 해결하도록 잘 다스려야 한다. 2. 둘째로 재물이 .. 더보기
[홍익인간 7만년 역사 -63] 단군조선(檀君朝鮮) 연대기 16 오행치수법이 과연 무엇일까? 오행의 상관관계로 인하여 치수법을 설명한 것이 틀림없을 것인데, 삼신오제설의 수화목금토(水火木金土)에 관한 내용에는 각각의 사명(司命)과 주관(主管)을 적고 있다. 오행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의 원리를 설명하여 치수법에 적용시킨 것일까? - 오행치수법(五行治水法) - 물을 진압한다 즉 다스린다는 것은 우선 급한 홍수는 물을 막아 진입을 막고, 물의 흐름을 파악하여 물길을 열어주고, 물이 다른 곳으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필요한 곳에 물이 모이도록하며, 차후에라도 물이 범람하지 않도록 조치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래서 우선 물이 더이상 침입하지 못하도록 둑을 만들어 막는 것이 필요하며, 다음에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물길을 트고 물길따라 둑을 만들어 넘치지 않게 하며.. 더보기
[홍익인간 7만년 역사 -62] 단군조선(檀君朝鮮) 연대기 15 홍범구주는 오행을 시작으로 9가지 범위에 걸쳐 기술하고 있다. 서기전2267년 태자부루께서 순의 신하 사공 우에게 도산회의에서 가르쳐 준 오행치수법은 오행의 원리를 응용한 치수법이 된다. 가. 오행(五行) 첫번째 오행은, 수(水), 화(火), 목(木), 금(金), 토(土)이다(一 五行 一曰水 二曰火 三曰木 四曰金 五曰土). 수는 윤하, 즉 흘러서 아래로 내려가고, 화는 염상, 즉 불꽃으로 위로 올라가고, 목은 곡직, 즉 굽어서 뻗어가고, 금은 종혁, 즉 따르게 하여 바꾸고, 토는 가색, 즉 심어서 거두는 것이다(水曰潤下 火曰炎上 木曰曲直 金曰從革 土爰稼穡). 수(水), 윤하는 흘러서 내려가므로 바닷물의 맛처럼 짠맛을 만들고, 화(火), 염상은 불꽃으로 위로 올라가니 타서 숯처럼 쓴맛을 만들고, 목(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