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대의 문화제도 썸네일형 리스트형 [홍익인간 7만년 역사 -18] 한국 시대의 문화제도 5 삼일신고(三一神誥)는 한국(桓國)시대에 정립된 홍익인간 이화세계를 실현하기 위한 가르침이다. 삼일신고의 내용은 천부경을 상세히 푸는 철학적인 가르침이면서, 자연신과 인격신의 전우주적(全宇宙的)인 조화(造化)와 치화(治化)의 종교적인 가르침을 담고 있고, 사람이 수행으로 천지인(天地人) 합일(合一)의 성통공완(性通功完) 즉 신인합일(神人合一)의 원리를 가르치고 있는 경전으로서 교화경(敎化經)이라고도 한다. 2) 삼일신고 가) 하늘(天) 삼일신고에서 하늘이란 어떤 존재인지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명쾌히 밝히고 있다. 검푸른 것이 하늘이 아니며, 검노란 것이 하늘이 아니다. 하늘은 모습과 바탕도 없고, 시작과 끝도 없으며, 상하사방도 없다. 텅텅비고 비었으나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이 없으며 담고 있지 아니한 것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