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명

왕의 비명 "죽은 며느리 탓에 귀에서 홍수가 났다" 왕의 비명 "죽은 며느리 탓에 귀에서 홍수가 났다" 인조의 이명 ② 귀에서 큰물이 흐르는 고통을 너희가 아는가? 1646년(인조 24년), 소현세자와 강빈이 죽은 바로 그 해 겨울부터 이명 증상이 시작되었다. 겨울의 초입인 음력 10월 17일, 인조는 이명 증상을 호소한다. 실록이 전하는 인조의 증상은 한의원을 찾는 수많은 이명 환자의 그것과 놀랍도록 흡사하다. 인조의 하소연을 직접 들어보자. "전에부터 귓속에서 매미 소리가 났었다. 그런데 금월 13일, 왼쪽 귀에서 홀연 종치는 소리와 물 흐르는 소리가 났다. 물 흐르는 소리는 가는 소리가 아니라 큰물이 급하게 흐르는 소리다. 어제 아침에도 똑같은 소리가 났다. 침을 맞으면 좀 낫지 않겠는가?" 영의정 김자점을 비롯한 신하와 어의들은 먼저 귀 감기로 진.. 더보기
아들·며느리·손자까지 죽인 왕, "귀가, 왼쪽 귀가…" 아들·며느리·손자까지 죽인 왕, "귀가, 왼쪽 귀가…" 인조의 이명 ① 소리는 마음을 움직인다. 아침의 새소리, 교회의 종소리, 사찰의 풍경소리는 걱정을 씻어내고 마음을 경건하게 한다. 길 가다 혹은 차를 몰고 가다 우연히 들리는 음악에 순식간에 기분이 바뀌기도 한다. 지속적으로 들리는 소음만 제거해도 행복도가 높아진다는 연구까지 염두에 두면, 마음과 소리가 얼마나 밀접한지 알 수 있다. 흔히 '귀 울림'으로 알려진 이명 역시 마음과 밀접한 병이다. 귀의 울림은 곧 자신의 마음이 괴롭다는 신호일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명 환자들이 한방과 양방의 온갖 병원을 숱하게 다니면서도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마음의 괴로움이 여전하니 그 울림을 다스리지 못하는 것이다. 그 동안 1년 넘게 '.. 더보기
선조의 귀울림 선조의 귀울림 이명이라는 질환이 실생활에서는 물론 드라마에서도 등장해서 화제가 되고 있다. 실제로 이명은 예전부터 많은 사람을 괴롭히는 질환이다. 조선의 선조 역시 '귀울림' 즉 이명(耳鳴) 증상을 호소했다. 선조는 1595년(선조 28년) 8월 8일 두통, 귀울림의 증세를 처음 호소하였다. 이듬해(선조 29년) 5월 11일에도 "왼쪽 귀가 심하게 울리고 들리지 않아 침을 맞지 않으면 낫지 않을 듯하다"라고 고통을 호소했다. 1604년(선조 37년) 5월 14일에는 귓가에 마비증이 와서 형방패독산을 복용했다. 1606년(선조 39년)에도 이명 증세로 고통을 호소했다. 선조가 이렇게 이명으로 고생한 까닭은 무엇일까? 이명은 사실 보통 사람에게도 자주 나타나는 증상이다. 피로가 누적, 수면 부족일 때 이명과.. 더보기
'천하무적' 김 과장이 쓰러진 까닭은? 귀의 복수 내원하는 많은 난청·이명 환자를 보면, 그들 사이에 어떤 공통점이 있다. 특히 갑작스럽게 난청·이명이 찾아와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는 더욱더 그렇다. 이렇게 갑작스럽게 난청·이명이 찾아온 이들은 대개 30대 중반에서 50대 중반의 남성이다. 어떤 이들인지 그 면면을 한 번 살펴보자. 대기업 부사장 ○○○ 씨. 그는 기획 업무, 노사 관계 등 회사의 온갖 일로 쉴 틈이 없다. 골프까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실력이다 보니, 사장의 중국 골프 여행에도 따라 나섰다. 그는 밤낮을 접대로 보내고, 한국으로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갑작스러운 난청을 경험하고 쓰러졌다. 또 다른 대기업에 다니는 ○○○ 씨도 살펴보자. 그는 아내와의 결혼 기념 제주도 여행을 앞두고 일을 마무리하고자 밤을 샜다. 제주도에서도 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