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오디세이 썸네일형 리스트형 개화파의 역사적 과오, 안중근이 씻어 내다 개화파의 역사적 과오, 안중근이 씻어 내다 갑신정변, 개화파는 왜 '민중의 적' 됐나 얼마 전 일본 NHK에서 방영해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던 대하드라마 에는 이런 장면이 나온다. 주인공 사카모토 료마가 고향인 도사 번(藩)을 탈번해 교토로 올라갔다가 난생처음 지구본을 보고는 경악하며 외친다. "요게 정말 일본이란 말인가?" 전통적인 일본의 '삼세계관'에 따르면 일본은 천축(인도), 중국과 함께 천하를 삼분하고 있는 큰 나라였다. 당시에 료마가 정말 그런 세계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이 장면이 미국의 개항 압력에 속절없이 당하고 말았던 당시 일본인의 정서를 표현해 주는 것만은 분명하다. 그 무렵 조선의 지식인도 비슷한 충격을 받고 있었다. 그들은 지구본을 보면서 아마도 이렇게.. 더보기 미국이 한국 독립 낙점? 유영익의 기묘한 이승만 띄우기 미국이 한국 독립 낙점? 유영익의 기묘한 이승만 띄우기 카이로선언과 'in due course'의 저주 in due course 한국인에게는 그리 익숙지 않은 이 영어 표현은 그 어떤 한글보다도 더 현대 한국인의 운명을 좌지우지했다. 흔히 '적당한 시기에'라고 번역되지만 더러 '적절한 절차를 밟아'라고 옮기는 이도 있다. 이 표현은 1943년 11월 27일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 영국의 처칠 수상, 중국의 장제스 총통이 이집트의 카이로에서 합의한 '카이로 공동성명'에 들어 있었다. "세 강대국은 한국인의 노예 상태에 유의하여 적당한 시기에 한국을 자주 독립시킬 것을 결의한다."라는 문장이 그것이다. 이 '공동성명'은 그해 12월 1일 테헤란에서 스탈린 소련 원수의 동의를 얻고 4대 강국의 '공동선언'으.. 더보기 러시아혁명의 교훈, 대중을 외면하면 진보도 없다 러시아혁명의 교훈, 대중을 외면하면 진보도 없다 11.6 러시아혁명 민족주의 독립운동가 박은식은 3.1운동 이듬해 출간한 에서 1917년의 러시아혁명이 전제정치를 타도하고 여러 민족의 자유와 자결을 선포했으며 세계 개조의 첫 신호탄이 되었다고 평했다. 이 혁명을 통해 종래의 극단적 침략국가가 이제 극단적 공화국가가 되었다면서, 천지의 대변화가 일어났으니 한국도 활발히 맹진해야 한다고 다짐했다.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혁명인 러시아혁명을 사회주의자도 아닌 박은식이 왜 이렇게 찬양했을까? 러시아는 개항기 조선과 대한제국의 가장 큰 근심거리 가운데 하나였다. 부동항을 찾아 우리나라를 호시탐탐 노리는 '북국의 곰'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오죽했으면 1904년 러일전쟁이 벌어졌을 때 수많은 한국인이 러시아에 맞서 동.. 더보기 서태지는 왜 노동당사 앞에서 발해를 꿈꿨나 서태지는 왜 노동당사 앞에서 발해를 꿈꿨나 간도와 한국사 9월 3일은 중국의 연변조선족자치주 성립일(1952년)이고, 9월 4일은 간도협약 체결일(1909년)이다. 이 두 가지 사건은 모두 중국에서 일어났지만 한국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연변(옌볜)을 포함하는 간도가 역사적으로 중국과 한국 사이에 영유권 분쟁을 겪어 왔고, 지금도 그곳에 많은 한인(조선족)이 살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를 좀 더 거슬러 올라가 보면 간도를 포함한 만주 지역을 고구려와 발해가 통치한 적도 있다. 그래서 지금도 고구려의 수도가 있었던 지안시 등 압록강 북안의 서간도 지역과 두만강 북안의 북간도 지역에서는 한국인 방문객과 현지 중국인 사이에 미묘한 긴장이 흐르곤 한다. 이 지역을 둘러싼 한국과 중국 사이의 쟁점은 크게 두 가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