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일신고(三一神誥)의 의해

민족경전, 삼일신고(三一神誥)의 의해-3 삼일신고 주해를 쓴 임아상은 대진국 초기 인물로서 자완대부(紫緩大夫), 선조성(宣詔省) 좌평장사(左平章事), 문적원(文籍院) 감(監)을 지냈다. 아래에서는 삼일신고와 그 주해를 해석해 본다. 2) 삼일신고 주해(三一神誥註解) - 임아상 三一神誥 세 참 하나 밝음 말씀 [注] 三一三眞歸一也神明誥文言 三一은 세가지 참이 하나로 돌아감이다. 神은 밝음이요, 誥는 글로된 말씀이다. 天訓 帝曰元輔彭虞蒼蒼非天玄玄非天天無形質無端倪無上下四方虛虛空空無不在無不容 하늘 가르침 임금(단제)께서 가로되, 원보 팽우야, 푸른 것이 하늘이 아니며 가마득한 것이 하늘이 아니다. 하늘은 겉과 속도 없고 시작과 끝도 없고 위 아래 사방도 없으며 텅텅비어서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이 없으며 담고 있지 아니하는 것이 없느니라. [注] 帝檀帝一.. 더보기
민족경전, 삼일신고(三一神誥)의 의해-2 단기고사에서 제1세 단군왕검은 종교를 창립하여 삼일신고를 천하에 널리 알리시고, 366사(事)의 신정(神政)으로 정성스럽게 교훈하시니, 그 덕은 천지에 견줄 수 있고 그 밝음은 해와 달과 같았다라고 기록하고 있는 바, 이 글로만 보면 삼일신고를 지은 인물은 단군왕검이 된다. 3. 삼일신고의 저자 삼일신고는 천부삼인(天符三印)과 그 역사를 같이 하는 바, 부도지(符都誌), 삼성기(三聖記), 삼신오제본기, 한국본기(桓國本紀), 삼한관경본기, 소도경전본훈, 신시본기 등의 기록으로 보아 개천(開天)의 주인공인 배달나라 개국시조 거불한 한웅 천왕은 한국에서 천부경, 참전계경과 함께 삼일신고를 지니고 와 백성들을 교화, 치화한 것이 된다. 그렇다면, 삼일신고의 가르침은 당시 글로 된 서책으로 존재하였는지는 아직 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