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와 사상체질

바다와 육지의 사계 육지에서의 계절은 봄에서 시작하여 봄․여름․가을․겨울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와는 달리 바다에서의 계절은 육지를 기준 하면, 가을에 시작하여 가을․겨울․봄․여름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그러니까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고 보면 됩니다. 이에 따라 바다에 사는 해초류는 육지의 가을철에 씨앗이 움트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육지의 겨울철에 해초들은 무럭무럭 왕성하게 자랍니다. 그러다가 육지의 봄이 되면 시들시들 해집니다. 이어서 여름철은 해초류에게는 죽음의 계절이 되지요. 바닷물이 육지의 기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보고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바다가 육지보다 한 계절 빠른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위에서 보았듯이 바다와 육지의 계절의 순환은 다른 것입니다. 이는 육지의 늦은 겨울 또는 초봄에 많은 해초류를 수확하는 것을.. 더보기
사계절과 사상체질 사시(四時)와 음양(陰陽)은 만물의 근본입니다. 봄과 여름은 양(陽)을 기르고, 가을과 겨울은 음(陰)을 길러서 그 근본(根本)을 좇기 때문에 만물은 이에 따라 성쇠(盛衰)를 거듭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근본을 거슬리지 않도록 하여 자연의 순리를 따른다면 심신(心身)은 저절로 화평해 질 것입니다. ▶ 봄(春) 봄에는 천지가 생동(生動)하여 만물이 화려하게 되는 때입니다. 봄의 생동하는 기분을 살리며 죽이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또한 주기는 하되 빼앗지 말 것이며 상(賞)은 주되 벌(罰)하지 않는 마음을 지닌다면 춘기(春氣)가 응(應)하는 것이고 이른 바 양생(養生)의 도(道)가 됩니다. ▶ 여름(夏) 여름은 천지의 기(氣)가 서로 사귀게되므로 만물에 있어서는 화실(華實)의 계절이 되는 것입니다. 이때에는 .. 더보기
기(氣)의 생성변화와 체질 사상체질은 형태는 없지만 끝없이 변화 작용을 하는 기(氣)의 성질을 네 종류로 구분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요즘 들어 자주 접하게 되는 기공과 관련된 기(氣)라는 단어 외에도 기라는 말은 광범위하게 적용됩니다. 예를 들면 어떤 것이 있을까요? 우선 예술가적 기질을 많이 지닌 사람에게 끼, 즉 기가 있다고 하지요. 그 외 물(水)기, 불(火)기, 신(神)기, 바람기(?), 객기(客氣), 살기(殺氣) 등등등……. 그러면 과연 기란 무엇인지 먼저 알아보아야 하겠습니다. 넓은 의미의 기는 우주(宇宙)의 에너지이며 모든 생명체의 원동력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이처럼 생명체를 생명체로 존재하게 하는 기는 어디서부터 생성되는 것인지 또 궁금해지실 것입니다. 모든 기는 물, 즉 수기(水氣)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이 .. 더보기
동서양 의학의 미래 일부 사람들은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을 혼합해서 새로운 의학의 장을 열면 보다 발전적일 것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만약 남자의 좋은 기능과 여자의 좋은 기능만을 뽑아서 중성체 인간을 만든다면 과연 그것이 바람직한 발전이라 할 수 있을까요? 남자는 남성다워야 하고 여자는 여성다울 때 음양상호대립과 모순 속에서도 상호작용과 대화작용을 통해 절대조화균형이 일어날 것입니다. 이렇게 될 때 보다 건전하고 아름다운 무엇이 창조될 수 있듯이, 동양의학은 동양의학대로 서양의학은 서양의학대로 그 나름의 서로 충분한 내부 실력을 쌓을 때 자연스런 조화에 의하여 일정 부분 서로의 장점들을 자기 것에 접목시켜 보다 나은 쪽으로 발전 향상될 것입니다. 결국 동양의학만을 앞세워서도 서양의학만을 앞세워서도 안되며 서로 대립과 .. 더보기
동서양 의학의 차이 동양사상에는 ‘인간도 자연의 일부’라는 개념으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우선하는 생각이 밑바탕에 깔려 있습니다. 그 조화 속에서 길흉(吉凶)과 화복(禍福)은 물론 심성과 질병, 나아가서 인간에 관한 모든 것을 찾으려 했습니다. 모든 동식물도 결국 우주자연의 역학관계에서 생성과 소멸을 거듭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그러므로 이름 없는 꽃 한 송이의 떨림이나 작은 나비의 날개 짓 하나 까지도 천지조화 속에서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인체에서도 손가락 하나의 움직임에도, 눈동자 하나의 흔들림도 그것이 마음과 육신 전체에서 일어나는 기운으로 보려 한 것입니다. 우주는 분열과 통일, 다시 통일에서 분열 이렇게 반복되는 것입니다. 이 속에서 통일적 개념이 강한 동양사상은 인체의 한 부분에 불과한 .. 더보기